Dev80 [Linux] 일반 계정에 sudo 권한 추가 / 삭제 root 권한으로 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는 sudo 권한은 해당 사용자 계정이 sudo 그룹에 소속되어 있는지로 결정된다. sudo 그룹에 소속된 사용자만 sudo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1. 사용자 계정 ubuntu를 sudo 그룹에 추가# sudo adduser ubuntu sudo 2. 사용자 계정 ubuntu를 sudo 그룹에서 삭제# sudo deluser ubuntu sudo 3. sudo 그룹에 변경이 잘 되었는지 확인# grep "sudo" /etc/group 2022. 12. 13. Context Switching, Optimazation Context switching은 왜 필요할까?: 한번에 하나의 task만 처리한다면 해당 task가 끝날때까지 다음 task를 기다려야 하고 매우 느리고 불편하다. 빠른 속도로 task를 바꿔가며 실행하면 (사람에게) 실시간처럼 실행되는거 같은 장점이 있다. Context Switching: 현재 진행하고 있는 task (process, thread)의 상태를 저장하고 다음 진행할 task의 상태 값을 읽어 적용하는 과정 Latency Hiding: CPU에서 context switching을 상당이 높은 코스트 작업이지만 GPU에서는 한없이 작은 코스트이다. GPU에서는 memory I/O 대기중인 작업을 실행열에서 빼고 다른 작업을 넣는다. 즉 하나의 작업을 기다리게 하고 다른 작업을 먼저 실행한다.. 2022. 12. 5. cv2 install error 혹시 ImportError: libGL.so.1: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이런 에러 메세지가 나오면$ apt-get install libgl1-mesa-glx를 입력해주자^_^ 그래도 안되면 $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ffmpeg libsm6 libxext6 -y이거도,, 2022. 6. 17. 주피터랩 띄울때 nohup jupyter lab --allow-root --ip 0.0.0.0 --port 12345 --no-browser nohup : 프로세스가 종료되도 주피터 랩이 꺼지지 않는다.--ip 0.0.0.0 : 현재 아이피 주소를 모를때 0.0.0.0로 입력하면 자동으로 현 아이피 주소로 된다.--port : 주피터 랩 포트를 의미힌다.--no-browser :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바로 브라우저로 나타나지 않게 해준다. jupyter notebook --generate-configjupyter lab passwordEnter password :Verify password : 비밀번호 설정을 하면 된다. 2022. 3. 21. 도커 nvidia toolkit 실행시 에러 도커에서 gpu 세팅을 할때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나타나기도 한다. 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could not select device driver "" with capabilities: [[gpu]]. ERRO[0000] error waiting for container: context canceled distribution=$(. /etc/os-release;echo $ID$VERSION_ID) curl -s -L https://nvidia.github.io/nvidia-docker/gpgkey | sudo apt-key add - curl -s -L https://nvidia.github.io/nvidia-docker/$distribution/nvidia-doc.. 2022. 3. 21. Got permission denied while trying to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socket docker를 처음 세팅하고 "Got permission denied while trying to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socket" 에러 메세지를 받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유저가 도커에 접근권한이 없어서 생기는 문제로 유저를 docker group에 포함시켜주면 된다. $ sudo usermod -a -G docker $USER 시스템 재구동 후 해당 ID에 대해 docker group 권한이 부여된다. 2022. 3. 17. 리눅스 파일/폴더 삭제 rm 명령어로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 1. 파일 삭제(rm)rm tmp.csvtmp.csv 파일을 삭제합니다.rm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을 삭제합니다. 2. 디렉토리 삭제 (rm -r)rm -r dir1-r 옵션을 붙히면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 2021. 9. 10. 리눅스 chown 사용법 자주 쓰는데 맨날 찾기 귀찮아서 정리하는 리눅스 chwon..파일의 소유권을 변경할 때 사용한다. 1. 파일 권한 보기 (ls -al)2. 파일 소유권 변경 (chown)chown 명령어는 디렉토리의 소유권을 바꿔는 명령어이다.예를 들어 root계정으로 권한이 있는 파일을 ubuntu라는 계정이 소유하게 변경할 수 있다. chown 사용자:그룹 파일 이때 chown 뒤에 -R 옵션을 붙혀주면 하위에 있는 파일까지 권한을 수정해준다. 2021. 9. 10. if __name__ == "__main__" __name__ == __main__ 은 해당 모듈을 인터프리터에서 직접 실행했을 경우에는 참이 되어 main()함수를 실행하고, 다른 프로그램에서 import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거짓이 되어 main()함수가 실행되지 않는다. 2021. 3. 12. git 기본 명령어 정리 내가 쓰려고 내가 정리한 git 명령어 - git init : git 생성하기- git clone {path} : 로컬로 소스 코드 가져오기- git commit -m "~" : 커밋 생성- git add . : 변경된 사항 전부 추가하기- git push : 커밋을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 git pull : 원격 저장소의 변경 내용을 현재 디렉토리에 가져와서(fetch) 병합함.(merge)- git status : 파일 상태 확인 - sudo : 관리자 권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만 간단히 정리 봤는데 이것만 알아도 git을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2021. 2. 26. 이전 1 ···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