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problem/20207
문제
수현이는 일년의 날짜가 1일부터 365일로 표시되어있는 달력을 가지고있다. 수현이는 너무나도 계획적인 사람이라 올 해 일정을 모두 계획해서 달력에 표시해놨다.
여름이 거의 끝나가자 장마가 시작되었고, 습기로 인해 달력에 표시한 일정이 지워지려고 한다. 지워지는 것을 막고자 수현이는 일정이 있는 곳에만 코팅지를 달력에 붙이려고 한다. 하지만 너무 귀찮았던 나머지,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르기로 한다.
- 연속된 두 일자에 각각 일정이 1개 이상 있다면 이를 일정이 연속되었다고 표현한다.
- 연속된 모든 일정은 하나의 직사각형에 포함되어야 한다.
- 연속된 일정을 모두 감싸는 가장 작은 직사각형의 크기만큼 코팅지를 오린다.

달력은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
- 일정은 시작날짜와 종료날짜를 포함한다.
- 시작일이 가장 앞선 일정부터 차례대로 채워진다.
- 시작일이 같을 경우 일정의 기간이 긴 것이 먼저 채워진다.
- 일정은 가능한 최 상단에 배치된다.
- 일정 하나의 세로의 길이는 1이다.
- 하루의 폭은 1이다.

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일정이 주어졌다고 하자. 여기서 코팅지의 면적은 아래의 파란색 영역과 같다.
이때 코팅지의 크기의 합은 3 x 8 + 2 x 2 = 28이다.
일정의 개수와 각 일정의 시작날짜, 종료날짜가 주어질 때 수현이가 자르는 코팅지의 면적을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일정의 개수 N이 주어진다. (1 ≤ N ≤ 1000)
둘째 줄부터 일정의 개수만큼 시작 날짜 S와 종료 날짜 E가 주어진다. (1 ≤ S ≤ E ≤ 365)
출력
코팅지의 면적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7
2 4
4 5
5 6
5 7
7 9
11 12
12 12
예제 출력 1 복사
28
복기
1. 스케줄을 달력에 넣는것까지는 열심히 했다. 이제 코팅지 면적을 구해야 하는데 BFS로 풀었는데 결국 못 풀었다.ㅠㅠ 너무 알고리즘 및 메소드에 집착하지 말고 생각한 것을 구현하는 것에 신경을 더 쓰자.
2. gpt 형한테도 오늘도 도움을 받았다. 나는 끊어진거를 BFS로 풀려고 했는데 끊어진거 체크하는 로직을 날짜로 loop를 돌리면 되는... 바보같은 나의 모습 ㅠ
3. 마지막에 남은거 생각도 못했네...
솔루션
N = int(input())
schedule = []
for _ in range(N):
schedule.append(list(map(int, input().split())))
schedule = sorted(schedule, key=lambda x: (x[0], -x[1]))
date = [[0] * 367 for _ in range(N)]
max_cnt = 0
for start, end in schedule:
cnt = 0
while any(date[cnt][start:end+1]):
cnt += 1
for i in range(start, end+1):
date[cnt][i] = 1
max_cnt = max(max_cnt, cnt+1)
total_coting = 0
width, height = 0, 0
for day in range(1, 367):
col_height = sum(date[row][day] for row in range(max_cnt)) # 해당 날짜의 최대 높이
if col_height > 0: # 일정이 있을때
width += 1
height = max(height, col_height)
else: # 끊어지는 로직을 여기서
total_coting += width * height
width, height = 0, 0
if width > 0:
total_coting += width * height
print(total_coting)
'Dev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470 두 용액 - 파이 (0) | 2025.03.20 |
---|---|
[프로그래머스] 무지의 먹방 라이브 - 파이썬 (0) | 2025.03.20 |
[백준] #15686 치킨 배달 - 파이썬 (0) | 2025.03.18 |
[백준] #7562 나이트의 이동 - 파이썬 (0) | 2025.03.17 |
[백준] #10819 차이를 최대로 - 파이썬 (0) | 2025.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