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트리(tree)는 사이클이 없는 무방향 그래프이다. 트리에서는 어떤 두 노드를 선택해도 둘 사이에 경로가 항상 하나만 존재하게 된다. 트리에서 어떤 두 노드를 선택해서 양쪽으로 쫙 당길 때, 가장 길게 늘어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럴 때 트리의 모든 노드들은 이 두 노드를 지름의 끝 점으로 하는 원 안에 들어가게 된다.

이런 두 노드 사이의 경로의 길이를 트리의 지름이라고 한다. 정확히 정의하자면 트리에 존재하는 모든 경로들 중에서 가장 긴 것의 길이를 말한다.
입력으로 루트가 있는 트리를 가중치가 있는 간선들로 줄 때, 트리의 지름을 구해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아래와 같은 트리가 주어진다면 트리의 지름은 45가 된다.

트리의 노드는 1부터 n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입력
파일의 첫 번째 줄은 노드의 개수 n(1 ≤ n ≤ 10,000)이다. 둘째 줄부터 n-1개의 줄에 각 간선에 대한 정보가 들어온다. 간선에 대한 정보는 세 개의 정수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정수는 간선이 연결하는 두 노드 중 부모 노드의 번호를 나타내고, 두 번째 정수는 자식 노드를, 세 번째 정수는 간선의 가중치를 나타낸다. 간선에 대한 정보는 부모 노드의 번호가 작은 것이 먼저 입력되고, 부모 노드의 번호가 같으면 자식 노드의 번호가 작은 것이 먼저 입력된다. 루트 노드의 번호는 항상 1이라고 가정하며, 간선의 가중치는 100보다 크지 않은 양의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트리의 지름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2
1 2 3
1 3 2
2 4 5
3 5 11
3 6 9
4 7 1
4 8 7
5 9 15
5 10 4
6 11 6
6 12 10
예제 출력 1
45
복기
1. 루트(1번노드) 노드 조건에서 가장 먼 두 노드를 어떻게 구현할지 했는데, dfs를 두번 돌려서 먼저 루트에서 가장 먼 노드를 찾고, 그 다음 해당 노드에서 가장 먼 노드를 찾는 방식이었다.
2. grok씨의 답을 보면서 dist+=weight를 왜 함수 밖에서 하는지 처음에는 잘 이해가 안 갔는데 바텀업으로 생각하니 이해가 되었다. dfs를 풀때 잘 모르겠으면 바텀업을 잘 기억하자.
- 노드 9: dfs(9, visited) -> visited[9]=True, max_dist=0, farthest_node=9
- 노드 5: dfs(5, visited) -> 자식 탐색하면 9번 노드 반환 -> dist = 0 + 15 -> max_dist = 15, farthest_node = 9
- 노드 3: dfs(3, visited) -> 자식 탐색하면 5번 노드 반환 -> dist = 15+11 = 26 -> max_dist=26, fartest_node = 9
- 노드 1(루트): dfs(1, visited) ->자식 탐색하면 3번 노드 반환 -> dist = 26+2 -> max_dist=28, fartest_node=9
솔루션
import sys
sys.setrecursionlimit(10000)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graph = [[] for _ in range(n+1)]
for _ in range(n-1):
a, b, c = map(int, input().split())
graph[a].append([b, c])
graph[b].append([a,c])
# dfs 함수: 현재 노드에서 가장 먼 노드와 그 거리를 반환
def dfs(node, visited):
visited[node] = True
max_dist = 0
farthes_node = node
for next_node, weight in graph[node]:
if not visited[next_node]:
# next_node에서 가장 먼 노드까지의 경로 리턴
dist, far_node = dfs(next_node, visited)
dist += weight
if dist > max_dist:
max_dist = dist
farthes_node = far_node
return max_dist, farthes_node
visited = [False] * (n+1)
_, farthest_node = dfs(1, visited)
visited = [False] * (n+1)
max_dist, _ = dfs(farthest_node, visited)
print(max_dist)
'Dev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9205 맥주 마시면서 걸어가기 - 파이썬 (1) | 2025.08.23 |
---|---|
[백준] #11725 트리의 부모 찾기 - 파이썬 (0) | 2025.08.23 |
[백준] #6603 로또 - 파이썬 (0) | 2025.08.22 |
[백준] #9663 N-Queen - 파이썬 (1) | 2025.08.14 |
[백준] #6443 애너그램 - 파이썬 (0) | 2025.08.11 |
댓글